한마디(26)
-
베트남어로 "말짱 도루묵"
오늘의 한마디 아무 의미없는 행동을 말할때 쓰는 우리말 속담 중에 소귀에 경읽기 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무리 좋은 말이라도 소가 알아듣지를 못하니 아무 의미가 없다는 뜻입니다. 비슷한 용도로 쓰이는 친근한 표현으로 "말짱 도루묵"도 있습니다. 베트남에도 비슷한 말이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Nước đổ đầu vịt 느억 도 더우 빗 오리 머리에 물 붓기 말그대로 "오리 머리에 물을 붓는다"는 뜻으로 오리 머리에 아무리 물을 부어봤자 한방울도 젖지 않는 것처럼 무의미하다는 뜻입니다. 의미없는것 치고는 귀여운 비유입니다. Nói chuyện với em chẳng khác gì nước đổ đầu vịt 너랑 얘기하는건 벽이랑 말하는거나 다를게 없어 Nỗ lực lâu nay như nước đổ đầ..
2022.12.21 -
베트남어로 "뻥 치지마"
오늘의 한마디 친구나 가까운 사이끼리 편하게 할 수 있는 오늘의 한마디는 뻥 치지마 입니다. 일상 대화에서 거짓말을 표현하는 말은 한국어도 그렇지만 베트남어도 다양합니다. Đừng chém gió! 등 쩸 조 뻥 치지마! đừng은 영어의 don't와 같은 의미를 가졌으며 동사 앞에 두면 "~하지마"라는 충고 및 지시의 표현이 됩니다. chém은 자르다, 썰다는 뜻이고 gió는 바람을 뜻합니다. 즉 손이나 칼로 바람을 가른다는 겉뜻을 가지고 있으며, 거짓을 말할 때 과한 손동작을 하는데서 이런말이 유래했다고 하는 설도 있습니다. Nó chỉ biết chém gió 걔는 입만 살았어 Đừng tin, chém gió đó 믿지 마세요, 구라예요 발음 첫번째 자 chém은 한국어로 [쩸]이라고 표기하고 표..
2022.12.20 -
베트남어로 "아항!"
오늘의 한마디 미처 생각하지 못한 것을 깨달을 때나 잊었던 것을 기억하게 됐을 때 내뱉는 감탄사로 아하 가 있습니다. 베트남어에도 비슷한 표현이 있습니다. Ờ há! 어 하 아하! "아항" 또는 "그렇구나"로 쓸수 있겠습니다. Ờ há! Em nói chị mới nhớ! 아참! 니가 말하니 기억났어! Ờ há! Sao tao lại không nghĩ ra cách đó ha 아항! 내가 왜 그 생각을 못했지? Ờ há! Bạn nói có lý đó 그렇구나! 니 말도 일리가 있어 발음 첫번째 자 ờ는 한국어로 [어]라고 표기하고 표기대로 발음합니다. 두번째 자 há는 한국어로 [하]라 표기하고 표기대로 발음합니다. 둘다 받침이 없는 음절로 성조를 따라 가볍게 내려갔다가 다시 가볍게 올라가듯 발음합니..
2022.12.17 -
베트남어로 "건배"와 "원샷"
오늘의 한마디 1 연말연시 잦은 술자리에서 특히 자주 들을수 있는 오늘의 두 마디는 베트남에 잠깐이라도 있어 본 사람이라면 무조건 들어봤을 건배 와 원샷 입니다 일단 건배를 남부기준 베트남어로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일종의 숨고르기 또는 도움닫기가 필요합니다. 1, 2, 3, Vô! 못 하이 바 / 요 하나둘셋, 가즈아! 잔을 들고 누군가 1, 2, 3으로 도움닫기성 선창을 하면 미처 잔을 들지 못한 사람들이 서둘러 잔을 들고 다함께 잔을 부딪히며 "Vô"를 외칩니다. 발음 첫번째 자 Một Hai Ba(123)은 한국어로 [못 하이 바]라고 표기하고 표기대로 발음합니다. 두번째 자 Vô는 한국어로 북부기준일때 [보]라고 표기하지만 북부발음으로 들어본적이 없는 관계로 남부기준 [요]라 표기하고 발음합니다..
2022.12.16 -
베트남어로 "내가 졌다"
오늘의 한마디 일상대화에서 흔히 쓰는 표현이지만 한국어로는 한마디로 설명이 안되는 오늘의 한마디는 Bó tay 입니다. 몇가지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Bài tập hôm nay khó quá! Bó tay! 바이 떱 코 꽈 / 보 따이 오늘 숙제 왜 이리 어려워. 기권! 또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도 쓸 수 있습니다. Sắp đến giờ mà chưa thấy nó. Bó tay! 삽 덴 저 마 쯔어 터이 노 / 보 따이 시간 다 됐는데 여태 안오잖아. 아몰랑! bó tay란 "손이 묶이다"라는 뜻으로, 화자가 손을 쓸 수 없는 속수무책의 상태임을 표현할 때 쓰입니다. 상황에 따라 한국어로는 "내가 졌다", "기권", "못말려" 또는 "에라 모르겠다", "유 윈(YOU WIN)"도 될 수 있겠으며, 대화..
2022.12.14 -
베트남어로 "천지삐까리"
오늘의 한마디 쌔고 쌨다와 함께 경상도 사투리로 알려져있는 오늘의 한마디는 천지삐까리 입니다. "OO 천지이다" 하면 뭔가가 지천에 흔하게 널려 있다는 뜻이 되고 삐까리의 어원은 불분명하지만 "벼"에서 기원했다는 설이 있으며, 또다른 주장으로는 천지에 "빽빽하게" 깔려있다는 데서 왔다는 설도 있습니다. 어느쪽이든 이 천지삐까리를 베트남어로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Đông như quân Nguyên! 동 느 꾸언 응위엔 바글바글하구먼 đông은 "붐비다"는 뜻이고 quân Nguyên은 "원군", 즉 몽골군을 말합니다. 직역을 하면 "원군의 수처럼 많다"입니다. 대월(옛 베트남)은 3번이나 이어진 원나라의 침략시도를 모두 막아낸 역사가 있으며 아마도 그러한 역사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보입니다. "인산인해"..
2022.12.13